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ebian(데비안) 계열 apt-get 명령어

Debian(데비안) 계열 apt-get 명령어

처음 리눅스를 입문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려웠습니다.

Windows 에서는 단순히 검색하고, 설치하고, 실행시키기만 하면 바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리눅스를 처음 접했을 때는 검색하기 조차도 어려웠습니다. 한글도 잘 써지지 않구요.

그래서, 처음 리눅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써봅니다.

초심자의 입장에서 작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익숙해지신 분들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냐면, 제가 초심자거든요.

데비안 계열은 대표적으로 Ubuntu, Linux Mint, MX Linux 등이 있습니다.

"sudo" 는 Windows 환경으로 생각하자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root 사용자로 로그인을 하면, 별도로 "sudo" 를 입력할 필요는 없지만, 그 외 계정에서는 "sudo" 를 입력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패키지 인덱스 정보 업데이트 : apt-get update

2. 패키지 업그레이드 : apt-get upgrade

3. 의존성 검사하며 업그레이트 : apt-get dist-upgrade

4. 패키지 설지 : apt-get install `패키지 이름`

ex :) "fcitx" 라는 입력기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fcitx"

5. 패키지 재설치 : apt-get --reinstall `패키지 이름`

6. 패키지 삭제 (설정파일 제외) : apt-get remove `패키지 이름`

7. 패키지 삭제 (설정파일 포함) : apt-get --purge remove `패키지 이름`

8. 패키지 소스 코드 다운로드 : apt-get source `패키지 이름`

9. "8번" 소스 코드를 빌드 : apt-get build-dep `패키지 이름`

10. 패키지 검색 : apt-cache `패키지 이름`

11. 패키지 정보 보기 : apt-cache show `패키지 이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openSUSE(오픈수세) zypp / zypper 명령어 기초

openSUSE “ zypper “ 명령어 기초 2019-06-14 Graf. Razorbacks 소개 데비안 계열에는 "apt-get" 와 "apt” 명령어가 있고, 레드햇 계열에는 "rpm" 혹은 "yum” , 그리고, “dnf” , 아치 계열은 "pacman” 이나 "yaourt" 같이 여러가지 패키지 관리용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우분투나 민트를 이용하셨던 분들은 apt-get 가 많이 익숙하시겠죠? zypper 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조금 알기쉽게 말하자면 어떤 프로그램(패키지)를 설치/삭제/업데이트 등을 하고, 패키지 관리 전반을 담당하는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서 MariaDB 를 설치하고 싶다면 “ # zypper install mariadb-client “ 이런식으로 말이죠. GUI 가 보기에도 예쁘고,사용하기 편리하지만 GUI 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혹은, 콘솔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패키지 명령어 정도는 알고 있다면 이용하는데에 훨씬 편리합니다. 많은 분들이 대세라고 했던(?) 데비안 계열과 레드햇 계열에서 쓰던 apt-get 이나 yum 이 익숙해서 다른 명령어를 이용하면 새로 배워서 익혀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려우니 찾아서 사용하고 싶지 않은 리눅스 배포판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바뀌어 갈 겁니다. 차근 차근. zypper 명령어 ## 제가 적어놓은 모든 명령어들은 openSUSE Leap 15.1  openSUSE Tumbleweed 에서  진행하였습니다. zypper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zypper : [전역 옵션] <명령> [명령 옵션] [인수] zypper : [—GLOBAL-OPTIONS] <COMMAND> [—COMMAND-OPTIONS] [A...

Windows / Linux 듀얼 부팅 -- 서로 다른 드라이브에 설치하고 부팅하기

Windows / Linux 듀얼 부팅 서로 다른 드라이브에서 설치하고 부팅하기 2020 . 05 . 15 2020 . 05 . 21 os-prober 추가 및 수정 우리나라에서 Windows 가 없는 채로 컴퓨터를 이용하기란 참 쉽지 않습니다. 다행히 애플의 제품을 많이 선호하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환경이 많이 개선되어가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몇 몇의 사이트(특히, 정부 관련 사이트 및 결제 관련 사이트)는 여전히 Windows 가 아닌 환경에서 이용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Windows 를 병행하여 듀얼 부팅하는 방식으로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고, 가상머신을 통해서 이용하는 분들도 있겠죠? 저는 이 글에서 실제 하드웨어에서 윈도우즈와 리눅스를 병행하여 설치하고 듀얼 부팅을 시킬 수 있도록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다른 블로그와 다른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많이 검색을 해보셨다면, 아마, 동일한 드라이브에서 파티션을 나누어 듀얼 부팅을 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블로그는 아주 많습니다. 저 또한 굉장히 많은 시간을 이 "듀얼 부팅" 때문에 검색도 많이하고, 많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도움을 받았지만, 많은 블로그에서는 동일한 드라이브 내에서 듀얼 부팅을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제가 처한 상황과 달라 가상 환경에서 직접 몇 시간을 작업하고 테스트 한 뒤에 실제 저의 컴퓨터에 듀얼 부팅이 성공적으로 진행이 되어 이 글을 작성합니다. 다른 블로그에서 설명해주는 것과 다른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른 블로그에서는 A 드라이브에 파티션 a(Windows) 와 b(Linux) 로 나누어 부트로더를 구성하고 윈도우즈와 리눅스를 선택하여 듀얼 부팅을 가능하게 합니다. A 디스크 : a 파티션(Windows) / b 파티션(Linux) 그러나, 이 글에서는 서로 다른 드라이브 A 와 B 디스크에 Win...

openSUSE(오픈수세) 설치 방법

openSUSE(오픈수세) 설치 방법 1. openSUSE(오픈수세) 설치 방법 2. openSUSE(오픈수세) 듀얼 부팅 파티션 방법 2019-06-16 Graf. Razorbacks 0. 시작하기 전에… 오픈수세도 다른 배포판들 처럼 온라인에서 ISO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부팅이 가능한 미디어에 저장하여 이용이 가능합니다. USB 도 가능하고, DVD 에 복사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CD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에는 웹 다운로드 버전을 받아야 합니다.) 설치하는 방법과 과정은 모두 동일하지만, 미디어가 USB, DVD인지에 따라 다른 부분은 참고하지 않습니다. Windows 10 에서 Rufus 를 이용하여 USB 에 복사 후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CD 및 DVD 를 통해 이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이미지 굽듯 이용하시면 됩니다. 설치 내용이 조금 길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이 매우 많습니다. 하나부터 차근 차근 설명드리려다 보니, 아마 설명 보다 스크린샷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참고적으로 이 방법은 ‘단일 디스크에서 파티션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다른 운영체제 없음)’ 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추후, 단일 디스크 다중 운영체제(Windows / openSUSE 멀티 부팅) 과 다중 디스크 다중 운영체제 (디스크가 2개, Windows 와 openSUSE 멀티 부팅) 에 대해서 별도 설명할 예정입니다. //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했더니, 스크린샷과 글의 양이 조금 많습니다. 보시기에 조금 어려움이 있을지 생각이 듭니다만, 원하실 경우에는 스크린샷만 보고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편하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준비물 8GB 이상의 USB 플래시 메모리 ( 주의!! 이미지를 복사할 경우, USB 메모리는 포맷됩니다. 사용하지 않는 USB 이거나, 자료를 모두 백업하신 후에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본인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openSUSE 디스...